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서울시민이라면 주목할 만한 기후 동행 카드를 알고 계시나요? 대중교통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기후 동행 카드의 혜택 내용과 함께 신청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또한 기후 동행 카드는 어떤 대중교통에서, 어디까지 사용 가능할까요? 아래 정보를 참고하신다면 기후 동행 카드 발급과 사용에 도움을 받을 수 있으실 것입니다.
목차
기후동행카드
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정책으로 월 6만2천원의 요금으로 지하철,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.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분들은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 서울시에서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확인해보아야 할 정보라고 생각됩니다.
-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월 62,000원의 요금으로 대중교통(지하철, 버스, 따릉이) 무제한 사용
- 2024년 1월 27일(토) 부터 시행
기후동행카드 신청
기후동행카드는 모바일카드 또는 실물카드로 나뉘며 모바일카드는 [티머니 앱]을 통해서 사용이 가능하며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1~8호선 고객안전실 또는 역시 인근의 편의점에서 구입이 가능합니다. 아래 기후동행카드 모바일카드의 구매 및 충전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.
기후동행 모바일카드
기후동행카드를 모바일로 사용하기 원하는 분들은 모바일 티머니 앱을 다운로드하여 간단 발급 및 충전을 진행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 사용 개실일부터 30일간 사용이 가능하며 하차 시 카드를 찍지 않고 내리는 경우가 2회 누적되면 24시간 사용이 정지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기후동행 실물카드
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역사 내 고객안전실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. 카드구매 비용은 3천 원이며 실물카드를 구매한 뒤 해당 카드를 티머니 카드&페이 홈페이지에서 등록을 진행합니다. 이후 1~8호선내 무인충전기를 통해 기후동행카드 충전을 진행하고 30일간 사용이 가능합니다.
기후동행카드 사용범위
기후동행카드의 다소 아쉬운점은 사용범위가 서울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. 수도권인 서울, 경기, 인천 모두 지원한다면 더 좋은 정책일 수 있었지만 서울을 벗어난다면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서울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, 등하교를 하는 분들이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.
기후동행카드 서비스 지역 | ||
기본 서비스 범위 | ✔ 서울지역 내 지하철 ✔ 서울시 면허 시내,마을버스(심야버스 포함) ✔ 따릉이 |
|
지하철 세부노선(구간) | [1호선] 온수/금천구청~도봉산 [2호선] 전구간 [3호선] 지축~오금 [4호선] 남태령~당고개 [5호선] 방화~강일/마천 [6호선] 전구간 [7호선] 온수~장암 [8호선] 전구간 [9호선] 전구간 |
[신림선] 전구간 [경춘선] 청량리/광운대~신대 [공항철도] 김포공항~서울역 [우이신설선] 전구간 [수인분당선] 청량리~복정 [경의중앙선] 수색~양원/서울역 |
*광역버스 사용불가, 서울시 내에서 승차 후 시 외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불가 |
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승차하여 다른 시,도에서 하차하는 경우 그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중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. 아래는 알뜰교통카드의 혜택과 사용법, 그리고 신청방법의 대한 글이니 참고한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.
기후동행카드 환불
기후동행카드의 사용을 위해서 62,000원을 충전했지만 사용하지 않았다면 잔액을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. 사용기간 만료 전(사용 후 30일 이내) 사용전액 환불을 원하는 고객은 모바일 티머니 앱 또는 서울교통공상 고객안전실에서 환불이 가능합니다.
지금까지 기후동행카드의 혜택과 함께 신청방법의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사용가능지역이 좁다는 단점이 있지만 서울 지역 내에서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충분한 장점이 있는 대중교통카드라고 생각됩니다. 월 62,000원보다 많은 대중교통비를 사용한다면 위 정보를 확인하여 신청까지 진행하여 교통비를 절약해 보시기 바랍니다.
▣관련 정보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휴대폰 요금 미납 수발신 정지 기간 및 해결방안 3가지 (0) | 2024.02.19 |
---|---|
휴면계좌 통합조회로 숨은 내 돈 한 번에 찾는 방법 (0) | 2023.11.18 |
청와대 관람 신청 방법과 입장료 정보 총정리 (0) | 2023.10.30 |
댓글